__

언론/보도자료


제목 [뿌리기술이 힘]⑤ 눈과 손끝을 사로잡는 표면처리 기술(조선일보) 2014-12-26
내용

 

#스마트폰 제조업체 팬택은 베가아이언2를 개발하면서 표면처리 기술을 집약 적용했다. 국산 스마트폰으론 드물게 금속 케이스를 도입하면서 ‘아노다이징(anodizing)’과 ‘헤어라인(hairline)’ 공정을 접목했다. 아노다이징은 금속 표면을 산화(酸化)해 얇은 막을 형성하는 기술이다. 아노다이징한 금속은 부식에 강하고 내마모성(耐摩耗性)이 개선된다. 또 금속 색상에 일정한 변화를 줄 수도 있다. 헤어라인은 금속에 가는 선을 그어 표면을 곱게 만드는 기술이다. 헤어라인 공정을 거친 스마트폰은 손에 쥐었을 때 손에 착 감기는 느낌을 준다.

스마트폰 성능이 상향 평준화하면서 스마트폰의 경쟁우위 요소로 업계는 디자인에 주목하고 있다. 소비자는 검정색 플라스틱 일색의 스마트폰 디자인에 싫증을 내고 있다. 이에 스마트폰 업체마다 외부 디자인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금속 케이스를 도입하고 있다.

금속 케이스 디자인에 가장 필요한 뿌리기술이 표면처리다. 표면처리는 소재·부품의 미관·내구성을 개선하거나 새 기능을 첨가하기 위해 재료의 표면 특성을 바꾸는 기술이다. 인간은 보고 만지면서 사물의 특성을 파악한다. 표면처리는 인간의 시각과 촉각을 지배한다는 점에서 소비자와 최접점에서 만난다.

팬택이 개발한 스마트폰 '베가 아이언2'. 디자인을 위한 표면처리 기술이 대거 적용됐다. /팬택 제공

 

▲ 팬택이 개발한 스마트폰 '베가 아이언2'. 디자인을 위한 표면처리 기술이 대거 적용됐다. /팬택 제공


◆ ‘스펙 전쟁’ 끝난 스마트폰, 표면처리로 차별화

중소기업청이 작성한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에 따르면 스마트폰 케이스는 사용자가 느끼는 제품 품질의 33%, 제품 만족도의 71%를 좌우한다. 이에 스마트폰 업체들이 다양한 표면처리 기술을 금속 케이스 디자인에 적용하고 있다.

스마트폰 부품에도 표면처리 기술이 적용된다. 삼성전자 엔지니어는 “스마트폰 지문인식 버튼에는 인식률을 높이기 위한 표면처리 기술이 쓰였다”고 설명했다. 스마트폰 부품업체 크루셜텍 (14,800원▼ 50 -0.34%)은 지난 10일 지문인식버튼에 크리스탈세라믹 코팅을 입혀 인식률을 높이고, 외부 충격이나 긁힘에 강하게 만드는 표면처리 특허를 취득했다.

표면처리는 반도체·액정표시장치(LCD)·발광다이오드(LED)·태양전지에도 광범위하게 쓰인다. 4가지 제품은 ‘‘웨이퍼(LCD의 경우 대형 유리판)’ 위에 각종 금속·화합물을 얇게 여러 층 입히는 공정을 거친다. 이때 ‘증착(蒸着·용어설명 참조)’이라는 기법이 사용된다. 증착은 표면처리 기술의 일종이다. 웨이퍼 표면에 금속·화합물을 얼마나 빨리 균일하게 증착하는 지가 제품의 성능과 생산성을 결정한다.

태양전지 생산에 사용되는 '증착' 기술도 표면처리 기술의 일종이다. /조선일보DB

 

▲ 태양전지 생산에 사용되는 '증착' 기술도 표면처리 기술의 일종이다. /조선일보DB


◆ 표면처리 “뛰는 韓, 나는 日”

다른 뿌리기술처럼 국내 표면처리 기술 수준은 낮은 편이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표면처리 기술은 일본을 100점으로 봤을 때 86.1점 정도다. 일반 산업용 표면처리 기술은 선진국에 크게 뒤지지 않는다. 반면 반도체 등 첨단 정보기술(IT) 분야에서는 기술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국내 표면처리 업계가 영세한 탓이다. 중소기업청에 따르면 국내 표면처리 업체의 74% 20인 미만 소기업이다. 24%20~50인 미만 중기업군이다. 1인당 매출액은 12000만원가량이다. 중소기업 규모를 벗어나지 못하다 보니 연구개발(R&D) 투자 여력도 적다. 일본에는 이비덴, 스미토모 메탈 마이닝 등 표면처리 전문 기업들이 즐비하다.

스마트폰 외관에 적용된 표면처리 기술들. /중소기업청 제공

 

▲ 스마트폰 외관에 적용된 표면처리 기술들. /중소기업청 제공


손성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표면처리연구실용화그룹장은 “합금도금에 쓰이는 특수 재료들은 국내 업체가 생산하지 못하고 있다”며 “시장은 작아도 고부가가치 제품이라 국내 업체의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환경규제 강화 움직임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특수합금 재료개발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전기·전자제품 유해물질 사용제한 지침(RoHs), 폐전기전자제품 처리지침(WEEE) 등은 크롬·납·카드뮴·수은에 대한 사용을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 일부 표면처리 공정은 화학약품을 많이 사용해 많은 양의 폐수가 배출한다.

일부 선진 업체들은 환경 규제를 뛰어 넘는 기술을 개발해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친환경 표면처리 기술로 유명한 업체는 일본 딥솔이 있다. 딥솔은 아연도금으로 자동차 부품의 부식 강도를 높여주는 기술을 갖고 있다. 아연 도금은 표면의 녹을 제거하기 위해 염산을 사용하는데 딥솔은 친환경 공법을 도입해 오염물질 배출을 크게 줄였다.

손성호 그룹장은 “국제 환경규제가 강화하면서 국내 표면처리 업계가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하면서 “친환경 도금·표면처리 소재 및 장비 기술 확보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용어설명
증착(蒸着): 금·은·알루미늄 등 금속이나 산화 마그네슘, 산화 아연 등 화합물을 가열해 증기로 만든 뒤 다른 물체에 입히는 공정 

 

            안석현 기자: ahngija@chosun.com

 

 


 출처: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4/12/26/2014122602241.html

첨부파일 없음